본문 바로가기
경제꿀팁/직장인 정보

이직 하기 전 고려해야 될 3가지

by ◎★☆★◎ 2021. 7. 6.

한 조사에 따르면 입사 후 1년 이내에 퇴사하는 신입사원의 비율이 50%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최근, 점점 더 많은 직장인들이 경제 상황에 상관없이 스스로 퇴사하거나 직장을 옮기기로 결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기회라면 그곳에 가는 것과 같은 "문지 마 이직"도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엔, 놀라울 정도로 빨리 후회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20대의 이직이 그들의 첫 번째 이직일 것입니다. 이직 시 고려해야 할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외부 조건보다는 내부 동기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첫 번째 직장과 마찬가지로 첫 번째 근무 이후의 경험도 종종 어떤 업종, 회사, 직장으로 옮길 수 있는지 결정하므로 신중하게 판단을 하여야 합니다. 단순 욱하는 심정으로 그만두거나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막연한 자신감을 가지고 가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후에 계속될 자신의 경력과 커리어에 대해 생각할 때, 여러분은 다른 어떤 나이 그룹보다 더 신중히 생각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첫 이직 신중하여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확실한 자기 생각을 가져야 하는데 무엇을 고려해봐야 할까요?

1. 목적: 이직하고 싶은 이유

직업을 바꾸는 것이 항상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 되어선 안됩니다. 속된 말로, '싫은 사람'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경력자들이 말하는 것입니다. "한 번 싫은 건 계속 싫은 거지"라는 마음으로 현재의 회사를 그만두듯 합니다. 왜 직업을 바꾸려고 하십니까? 현실 도피가 아닌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투자성 이직이어야 계속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직의 롱테일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직업 목표를 설정하고 점점 더 점진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가치: 정말 이직할 만큼 가치가 있나?

이직하고자 하는 기업, 직무, 팀, 리더 등을 세심하게 평가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연봉도 중요해요. 직장인들에게 연봉만큼 경제적 가치와 심리적 보상을 더해줄 동기요인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가치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성급하게 옳고 그름을 말할 수는 없지만, 직업을 바꾸려는 곳에 어떤 가치를 두는지 자문해 봐야 합니다. 연봉요? 기회요? 승진이요? 성장이라고요? 리더요? 다 좋아요.

3. 적응과 성공: 확실히 성공할 수 있는 곳인가?

사실, 이직은 끝이 없습니다. 이직의 끝은 정년퇴직 또는 창업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직 이동의 성공 여부가 다음 이직의 기회를 만듭니다. 이직한 곳에서 빠른 시간안에 나를 인정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소 3개월 이내에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에 어필할 수 있는 성과를 달성해야 합니다. 성과의 크기나 영향력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장 작은 것은 팀장이나 부서 내 상관의 칭찬을 받는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직업을 바꿀 "조기 적응 후 작은 성공"이라는 방정식을 만들 자신이 없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이직을 재고하는 편이 더 좋을 것입니다.

4. 맺음말

이직을 자주 하는 사람들의 말이 있는데요. "결국 다 만나더라" 발전하기 위해 노력을 하다 보면 어차피 다 만나게 되어 있으니, 항상 시야를 멀리 보고 움직이세요. 짧게 보면 지쳐서 오래가지 못한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