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 이직 하기 전 고려해야 될 3가지 한 조사에 따르면 입사 후 1년 이내에 퇴사하는 신입사원의 비율이 50%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최근, 점점 더 많은 직장인들이 경제 상황에 상관없이 스스로 퇴사하거나 직장을 옮기기로 결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기회라면 그곳에 가는 것과 같은 "문지 마 이직"도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엔, 놀라울 정도로 빨리 후회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20대의 이직이 그들의 첫 번째 이직일 것입니다. 이직 시 고려해야 할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외부 조건보다는 내부 동기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첫 번째 직장과 마찬가지로 첫 번째 근무 이후의 경험도 종종 어떤 업종, 회사, 직장으로 옮길 수 있는지 결정하므로 신중하게 판단을 하여야 합니다. 단순 욱하는 심.. 2021. 7. 6. 이직 정보 빠르게 획득하는 5가지 방법 이직은 정보 싸움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얼마나 빨리 획득하느냐는 지원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이직 관련 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직 관련 정보를 정확하고 폭넓게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온/오프라인 커뮤니티를 활용 자세히 살펴보면 기업과 일자리와 관련된 온·오프라인 커뮤니티가 많습니다. 우선, 온라인에 가입한 후 정기적인 오프라인 미팅에 참여하여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직무형 커뮤니티에서는 이직 관련 정보와 지인의 추천이 갑작스럽고 빈번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이력서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10명 이상의 지인 네트워크 구축 가장 정직한 회사 정보는 사람들의 마음속.. 2021. 6. 20. 직장 구할 때 안정적인 회사인지 판단하는 기준 직장 구할 때 안정적인 회사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데요. 제가 원래 다니던 회사는 자금 사정이 좋지 않아 회사를 떠났습니다. 지금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있는데, 또 같은 상황을 겪게 될까 봐 걱정이에요. 지금은 안정적인 회사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회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처음에는 제가 일했던 회사가 유망해 보였습니다. 안정적인 회사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년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자본/부채율을 보자 물론, 영원히 안정된 회사는 없습니다. 좋은 여건이 항상 지속될 수는 없기 때문에 기업은 계속해서 이익을 창출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악재로 흥망성쇠 하는 기업들이 해마다 존재하는 것도 현실입니다. 하지만, 직장을 구하.. 2021. 6. 5. 경력직 이직 경력직 신입 최선의 지원 방법 경력이 짧은데 경력직 이직과 경력직 신입 중 최선의 지원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첫 직장에 입사한 지 8개월이 된 신입사원입니다. 회사가 원하던 것과 달라서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경력이 짧아서 어떤 유형을 넣을지 고민 중이에요. 경력이 있는 직장으로 옮기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신입사원으로 다시 지원하는 게 좋을까요? 취업준비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뒤처질 것 같은데, 새 직장에 지원하느라 시간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사람이 경력직이나 신입사원에 지원하는 것이 더 나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기간보다는 이유가 중요 경력 1년이 채 안 되면 경력직으로 이직을 준비해야 할지, 이른바 '경력 신입사원'으로 다시 취업을 해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또 경력이 3년 정도지만, 그 기간.. 2021. 6. 3. 이전 1 2 3 4 다음